본문 바로가기

Web Front-end 공부26

Js 조건문 ---문은 statement. 조건문은 조건에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아니거나 가장 흔한 조건문은 로그인 : 로그인 했으면 했을 때 페이지 보여주고 아니면 로그인페이지 보여주기 if(조건식)에서 조건식의 값이 true면 안에 실행문이 동작하게 되어있음. if문에서 if 는 필수지만 밑에 else 부분은 선택적 if(조건식){ 실행문1; 실행문2; } 조건문에서는 어떤 값이 true/false 인지 알아두는게 좋음. false, 0, ''(빈문자열), NaN, null, undefined만 거짓인 값. 나머지는 true니까 얘네만 외워두자 if문 끝 {} 뒤에는 보통 세미콜론을 안붙임 띄어쓰기를 잘하면 {}를 안붙여도 실행은되지만 오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그냥 사용하도록 하자. true라는 값을 직접 넣어.. 2022. 5. 20.
Js 상수(const)와 var const는 상수, 저장된 값을 바꿀 수 없다. const로 지정한 변수를 나중에 바꾸려고 하면 [Assingment to constant variable] 이라는 에러가 뜬다 const value = '상수입니다' value = '123' // Uncaught TypeError 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. const를 써서 변수를 설정할거면 처음부터 꼭 값을 넣어줘야된다. 나중에 바꿀수 없기때문에 에러가 뜬다. 처음에 뱐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나중에 바꿀 수 없기때문에 의미가 사라진다. [Uncaught SyntaxError : Missing initializer in const declaration.] const value2 ; // Uncaught SyntaxErr.. 2022. 5. 20.
Js 변수 변수(variable) 란 ?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힌 이름이다. 프로그램을 만들때는 특정한 값을 지정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는데, 이 때 사용하는게 변수 컴퓨터에서는 값을 저장해두는 것이 아주 중요. 계산을 그냥 한다던지하면 값이 저장되지 않고 그냥 날아가는 걸 볼 수 있다. 어떤 값을 가지고 있더라도 저장되는 공간을 정해놓지 않으면 어디에 넣었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듯이, 변수를 통해서 어떤 값에 대한 공간을 저장해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. 앞으로는 변수에 저장을 해두고 그 변수를 통해서 계산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. console.log('123') 을 치게되면 console창에는 123 값과 그 밑에 undefined.. 2022. 5. 20.
Js 기본적인 내용 코드의 끝에는 항상 세미콜론(;)을 침으로써,여기가 명령의 끝임을 알려주는게 좋다. 세미콜론과 치면 한줄에 코드를 다 작성할 수도 있긴 함.하지만 권장은 안한다 가독성이 떨어짐 [error : Unexpected identifier] 무엇인가 넣어야되는데 안넣었을때 뜨는 에러 주석은 사람과 사람사이의 소통창, 코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때 사용. 주석은 코드와 코드 사이에도 넣을 수 있다. 주석안에 있는 코드는 컴퓨터도 무시를 하고 실행시키지 않는다. 여러개의 코드를 적어놓고 주석처리를 해둔 다음에 요리조리 바꿔가면서 실행시켜 볼 수도 있음 들여쓰기는 안해도 되지만 왠만하면 습관으로 만들기 #자바스크립트 자료형 프로그램이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값(value)라고 부른다. 문자, 숫자, 불리안 등은 모두.. 2022. 5. 19.